Common Memories Unfolded in a Public Space
공공의 장소에서 펼쳐낸 공통의 기억


Common Memories Unfolded in a Public Space

Taegak (胎刻, Carving of Conception Dream) begins with asking the elderly people about the conception dream. After the start of the project, We met about 100 elderly people. To the first question of Moojin Brothers: “Do you remember your own conception dream?”, they were startled and asked back: “Conception dream?”. Nine times out of ten, they answered: “Everybody was struggling to survive during the war. No one asked such a question. I don’t know”. The elderly people in our age experienced the Korean war (1950~1953) and the poverty thereafter, so they have personal narratives that faded through it. Of course, there were a few elderly people who talked about their own conception dream despite their difficult lives. But, it cannot be said that they lived in a particularly good environment. They just remembered their own conception dream they heard from someone for decades. And Moojin Brothers were able to meet them only on a fortunate day.

The conception dream is a strange ‘language-Image’. Even if it is their own conception dream, but they didn’t have that dream themselves. Once it becomes their own, it is engraved as part of their narratives as if it is their own name through their entire life. Most elderly people recall that their own conception dream was a story shared by villagers as well as their own family or relatives. When someone had a conception dream about their fetus, they tell it to the people and the story is passed on to others and eventually it is passed on to that child, who is the protagonist of the conception dream. It can be said that the conception dream is created through memories and conversations of others.

The story of conception dream contains an abundance of images, symbols, and interpretations reflecting the desire of the community. The notion of favoring a boy to a girl and aspi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ion dream only show some aspects of each era. During the project, we sometimes can meet the elderly people who have conceived of their descendants after having the same conception dream of snakes and fruits across a few generations. Listening their story, the conception dream changes with time, and even the same symbol is accepted completel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imes. For example, an elderly person we met on the street had a daughter after seeing the fruit in the conception dream. Is the dream of fruit that mother and daughter had the same dream? An old woman picked a fruit was glowing beautifully in the filed near the house of her parents in her dream about 40 years ago. And after a few more decades, her daughter bought a delicious peach at the mart and gave birth to a pretty daughter. The fruit with neatly attached barcode was wrapped in a pretty wrapping paper.

At first glance, it sounds as if after having the dream of fruits, it is likely to give birth to a daughter. However, comparing the space and the situation that the fruit was picked in the dream, the background and the symbol of the conception dream are complete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ra. The elderly people, who spent their childhood in rural areas and their daughters, who grew up in the city, had different dream of fruit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and era. The conception dream, the first narrative that is given when a human being is born, contain various historical, social and personal conditions at the time of their conception. Therefore, when the era changes, the conditions also change, which is regarded to be natural.

Of course, the interpretation of symbols in dreams such as gender and wealth is similar. The fact, that a specific fruit, like the fruit in the above dreams, means the birth of a daughter, is almost unchanged. Nevertheless,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code of the conception dream,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will take on a completely different aspect. It is said that the dream of fruit in the era when the woman was regarded to be inferior gave disappointment and sometimes sadness to many people including the person who had the dream. But, in our era where low fertility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whole family feels joy just when having a child after dreaming of fruit, indicating that the members of society have changed.

Therefore, Moojin Brothers did want see the conception dream not as a story that simply determines the fate of an individual and prescribes their identity, but as a ‘language-Image’ that can be imaged and interpreted in various ways. And, the result of their contemplation on how to realize it is Taegak.

Of course, the story of conception dream does not express our real situation in detail or induce deep thoughts. Nevertheless, we are able to make an attempt to build a relationship through a story between generations that have been disconnected due to dreary neighborhood and a lack of communit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onception dream is a story that has been circulating around several generations and communities, we think it can do some of its roles even today. So, we did one more experiment in Taegak held in Paju this time. It is the conception dream of their children the elderly people still remember.

Nine times out of ten, the elderly people remember well the conception dream about children or grandchildren. Of course, it is mostly mothers who talk about the conception dream about their child, and they add the following words at the end of the story: “Even if I forget everything else, I cannot forget that dream. It is still so vivid.” At first, we did not receive the drawings from them because the stories were not their own.

However, as the project progressed, the temporal changes in the conception dream and the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became clearer only if the there were the story of the conception dream from the elderly. There should be the conception dream across more than two generations,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ion dream become clearer. This is the reason why we should listen to the conception dream of the relatively young generation in the voice of the elderly. It is because the elderly people remember the conception dream across more than two generations, and they can convey a story of life in a colorful way according to it.

In future projects, we will gladly record their children and grandchildren as well as the elderly themselves. What Moojin Brothers want to express through the conception dream of the elderly people about their children is not merely a comparison of the conception dream. We will try to find out what are the common prejudices and the customary gaze of the contemporary people about life and things and how we can develop new stories from them. In this process, we would like to try to build my own narrative with an interpretation and an image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previous generation, rather than regarding the conception as a custom or superstition. Of course, we left these wishes blank for the younger generations who visit the library.

For many decades, most of the elderly remembered the moments when they heard the story of their birth from those who had that conception dream. They even remembered the sigh, laugh, and unique gesture made by those who had the dream, and they also remembered mothers, fathers, grandmothers, close relatives, and neighbors who they had lost long ago. In the story of elderly people orally recorded in the text, there are many symbols such as ‘...’ and ‘ “” ’ because of the reproduction of the lively memories. Sadly, it is impossible to capture all of these things not only in the text but also in videos. The memory of decades ago that the elderly people recalled with difficulty were only perceived by them who were there at the scene and the body of Moojin Brothers.

A story as an experience. It was the story from the elderly people. Through them, we learned that story is not merely passed from mouth to mouth. In their stories, there were commun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limate and community, and the atmosphere of one era. Therefore, the community where the elderly people have exchanged the story of conception dream (no matter whether it family or village) is not a simple background, but act as a vivid scene for ‘story-communion’ of the people who they lived together closely sharing various emotions. Now, it becomes very hard to find out the community in the unit of village, let alone dissolve. In this situation, some people are asking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story of the conception dream experienced by the elderly who have experienced a big family and a village. The work of Moojin Brothers is not to restore a past community or to find a new village community through the stories of the elderly. It is rather an experiment on how to share the stories shared in the past community with the members and how to create new stories in today’s social structure.

The work in the exhibition hall is largely consisted of the installation of the stamps of the conception dream and the catalogue of Taegak. Visitors can try the stamps of the conception dream with the engraved images of conception dream drew by the elderly people themselves at one corner of the exhibition hall. The catalogue to be displayed together is not the text to contain the results of the existing exhibition. The stories from the elderly people can be conveyed in various ways such as video, audio recording, and dict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space where such stories are conveyed, Moojin Brothers have produce in such a way that visitors are able to listen to the story of the elderly peopl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exhibition of Taegak is held in the library. Above all, if video and audio recordings are conveyed immaterially to the visitors, the test would be conveyed in more depth through the experience of touching and flipping. We hope that visitors can sense and feel the stories of the elderly tactually by touching and trying the stamps displayed.

At the end of the exhibition, the stamps hand-stained by many visitors will be returned to the elderly people. Taegak Project in Paju will end when we have to finish the delivery ceremony. The stamps displayed at ‘Memory Talk House’ in Seongbuk-gu, Seoul in 2017 were returned except only one elderly person. The owner of the stamp forgot he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nd returned the stamp. His stamp is used as an example when explaining the project process to the elderly. This stamp of the old man with dementia plays a role in inducing the elderly people of Paju to talk about their stories. In some way, the story flows without ponding.

The stamps to be returned to the elderly will also be displayed in the library and will go through the hands of many anonymous citizens who live together in the village of Paju, even if numerous users do not know each other well. The story of one fetus that circulated through the village once has came to a public place called the municipal library in 2018 after several decades. Perhaps the people visit the library may be just the users of lockers, desks, and books with serial numbers. Nevertheless, what if they participate in the work of Moojin Brothers and attempt little deviation from the routine. In fact, our village is filled with stories of the conception dream. I hope that this exhibition would provide us the opportunity to think about who live there with what memories and what stories we can withdraw from ourselves through their stories.



태각 : 공공의 장소에서 펼쳐낸 공통의 기억

<태각(胎刻)>은 노인들의 태몽을 묻고 답하며 시작된다. 프로젝트 시작 후 약 100여명에 가까운 노인들을 만났다. 그 만남에는 동일한 패턴이 있다. 먼저 무진형제의 질문. "어르신 혹시 본인 태몽을 기억하세요?" 화들짝 놀라며 되묻는 노인들. "태몽?" 그리고 이어지는 십 중 팔구의 대답. "전쟁 통에 먹고 살기도 바빠 죽겠는데 그런 걸 누가 얘기해. 난 몰러."

우리 시대 노인들에겐 6.25와 그 직후의 가난이, 그로 인해 희미해진 개인의 서사가 있다. 물론 지난한 삶 속에서도 본인의 태몽을 이야기해준 소수의 노인들은 있었다. 그렇다고 그들이 특별히 좋은 환경에서 살아왔다고 할 수도 없다. 어쩌다 보니 누군가로부터 들은 본인의 태몽을 수십 년간 잊지 않고 있었을 뿐이다. 그리고 무진형제는 어쩌다 운 좋은 날에만 그런 노인들을 만날 수 있었다.

태몽은 참 이상한 '언어-이미지'다. 분명 자기 태몽인데 본인이 꾼 건 아니고, 한번 자신의 것이 되면 평생 본인의 이름처럼 자기 서사의 일부로 각인된다. 그래서일까. 대부분의 노인들은 본인의 태몽이 한때 그의 가족이나 친척을 넘어 온 마을 사람들이 함께 공유한 이야기였다고 회상한다. 누군가 뱃속 아이에 대한 태몽을 꾸면 그것을 몽자가 주변인에게 이야기하고 그 이야기가 또 다른 이들에게 전달되어 결국 태몽의 주인공인 아이에게까지 전달되는 식이다. 태몽이란 결국 타인의 기억과 대화를 통해 만들어진다고 볼 수 있다.

태몽 이야기에는 한 시대의 이미지, 상징, 그리고 공동체의 욕망이 담긴 해석 등이 풍부하게 깃들어 있다. 태몽에 깃든 남아선호사상이라든가 출세 지향적인 해석은 그야말로 각 시대상의 일부 단면만을 보여줄 뿐이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가끔 2,3대에 걸쳐 뱀이나 과일 등 동일한 태몽을 꾸고 자손들을 잉태한 노인들을 만날 수 있다. 그들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태몽 또한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동일한 상징물이라도 시대상에 따라 완전히 다르게 받아들여진다. 가령 길에서 만난 한 노인은 과일 꿈을 꾸고 딸을 낳았는데, 그의 딸 또한 과일 딸을 꾸고 딸을 낳았다고 한다. 모녀가 꾼 과일 꿈은 과연 같은 꿈일까. 노인은 40여년 전에 친정 밭 근처에서 황홀한 빛이 나는 과일을 따서 치마폭에 담는 꿈을 꾸었다. 그리고 또 몇 십 년의 세월이 흐른 뒤 노인의 딸은 마트에서 탐스런 복숭아를 구입하고 어여쁜 딸을 낳았다. 예쁜 포장지에 바코드까지 깔끔하게 붙어 있는 과일이었다.

언뜻 보면 이 꿈은 단순히 과일 꿈을 꾸면 딸을 낳을 확률이 높다는 이야기로 들린다. 하지만 그 꿈속의 과일을 주워 담은 공간과 상황 등을 비교해 보면 시대에 따라 태몽의 배경과 상징들이 완전히 달라진다는 걸 알 수 있다. 어린 시절을 농촌에서 보낸 노인과 도시에서 자란 딸은 자신의 성장배경이나 시대상에 따라 같은 과일 꿈도 다르게 꾼 것이다.

한 인간이 태어날 때 부여받는 가장 최초의 서사인 태몽에는 그가 잉태될 당시의 여러 역사적, 사회적, 개인적 조건들이 깃들어 있다. 때문에 시대가 바뀌면 그 조건들도 자연스럽게 바뀌기 마련이다. 물론 아직도 성별과 부귀 등 꿈속에 등장하는 상징물에 대한 풀이는 비슷하다. 가령 위의 꿈처럼 특정 과일이 딸의 탄생을 의미한다는 사실은 거의 변함이 없다. 그럼에도 그 태몽의 코드를 받아들이는 태도에 따라 꿈의 해석은 전혀 다른 양상으로 펼쳐진다. 여자를 천하게 여기던 시대의 과일 꿈은 몽자를 비롯한 많은 이들에게 실망감과 때론 슬픔을 안겨주었다고 한다. 하지만 저출산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는 지금에 와서는 오히려 과일꿈을 꾸고 아이를 얻는 것만으로도 온 가족이 기쁨을 느낄 만큼 사회와 그 구성원의 인식 자체가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때문에 무진형제는 태몽이란 것이 단순히 한 개인의 운명을 결정하고 정체성을 규정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다양하게 이미지화 하고 해석될 수 있는 '언어-이미지'로 보고 싶었다. 그리고 이를 어떻게 실현할지 고민한 결과물이 바로 <태각(胎刻)>이다.

물론 태몽 이야기가 우리 현실을 매우 정치하게 표현하거나 깊은 사유를 유도하진 않는다. 그럼에도 삭막한 동네와 공동체의 부재로 단절된 세대 간에 어떤 이야기를 통한 관계 맺기의 시도는 할 수 있지 않을까. 애초에 태몽이 여러 세대와 마을 공동체를 떠돌던 이야기란 점을 감안하면 오늘날에도 그 역할을 어느 정도 해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이번 파주에서 진행된 태각 프로젝트에서는 한 가지를 더 실험하게 되었다. 바로 노인들이 기억하고 있는 자식들의 태몽이다.

십 중 팔구의 노인들은 자신의 태몽은 기억하지 못해도 자식들이나 손주들의 태몽은 기가 막히게 잘 기억한다. 물론 자식의 태몽을 말하는 쪽은 대부분 어머니들이며, 그 어머니들은 태몽 이야기 말미에 꼭 다음과 같은 말을 덧붙인다. "다른 건 다 까먹어도 그 꿈만큼은 못 잊어. 아직도 너무 생생해."라고. 처음에는 그러한 노인들의 이야기가 본인의 태몽이 아니라는 이유로 그냥 지나쳤다.

그런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할수록 노인들이 들려준 자식 태몽이 있어야 비로소 태몽의 시대적인 변화와 해석의 차이 등이 좀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비교적 젊은 세대의 태몽을 노인의 목소리로 들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들은 적어도 2세대 이상의 태몽을 기억하고 그에 따른 삶의 이야기를 다채롭게 전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태각 프로젝트에서는 노인들 본인은 물론 자식과 손주도 기꺼이 기록하려 한다. 무진형제가 노인들이 들려주는 자식들의 태몽을 통해 드러내고 싶은 건 단순히 태몽의 비교에만 그치지 않는다.

여러 태몽들을 비교하며 동시대인들이 생명과 사물에 대해 어떠한 공통적 편견과 관습의 시선을 가지고 있는지, 그로부터 어떠한 새로운 이야기들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지 다각도로 모색해보려 한다. 이런 과정 속에서 태몽을 관습이나 미신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이전 세대와는 다른 해석과 이미지로 자신만의 서사를 구축해 보았으면 좋겠다. 물론 이러한 바램은 도서관을 방문하는 젊은 세대들을 위해 공란으로 남겨뒀다.

대부분의 노인들이 몽자로부터 자신의 탄생 설화를 들었던 그 순간만큼은 수십 년이 지나도 잊지 못했다. 몽자가 태몽을 얘기할 때 내뱉은 한숨, 웃음, 그리고 독특한 몸짓까지... 그렇게 그들은 오래 전에 잃은 어머니, 아버지, 할머니와 가까운 친척, 그리고 이웃들까지 기억해냈다.

텍스트에 구술 채록된 노인들의 이야기 속에 유독 '...'와 ' "" ' 같은 기호가 많은 건 바로 그 생동감 있는 기억의 재현 때문이다. 안타깝게도 그 생생한 현장을 다 담아내지 못했다. 노인들이 어렵게 꺼낸 수십 년 전의 기억은 현장에 있던 노인들과 무진형제의 신체로써만 감지되기 때문이다.

체험으로써의 이야기. 노인들의 이야기가 딱 그랬다. 그들을 통해 이야기란 단순히 입에서 입으로 전달되는 것만이 아니라는 걸 배웠다. 그들이 전한 이야기에는 화자와 청자의 신체가 교감, 지역의 기후와 공동체의 특성, 그리고 한 시대의 분위기 등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었다. 때문에 노인들이 태몽 이야기를 주고받았던 공동체는(가족이든 마을이든)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살을 부대끼고 온갖 감정을 뒤섞어 가며 함께 생활한 사람들의 생생한 '이야기-교감' 현장으로 작용한다.

이제는 그러한 마을 단위의 공동체는 거의 다 사라진 상황에서 대가족과 마을을 경험했던 노인들의 태몽 이야기가 무슨 의미가 있냐며 질문하는 사람들도 있다. 무진형제의 작업은 노인들의 이야기를 통해 과거의 공동체를 복원하거나 혹은 새로운 마을 공동체를 꾀하려는 게 아니다. 오히려 과거 공동체 속에서 공유되던 이야기가 오늘날의 사회 구조 속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원들과 함께 공유하고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갈 수 있을지 작업을 통해 이런저런 실험을 벌이고 있다.

이번 작업은 크게 태몽 도장으로 이뤄진 설치물과 도록으로 구성된다. 태몽 도장은 관객들이 노인들이 직접 그린 태몽 이미지가 새겨진 도장을 전시장 한 곳에 마련된 곳에서 직접 찍어볼 수 있다. 함께 전시되는 도록 또한 기존의 전시 결과물을 담기 위한 텍스트가 아니다. 노인들이 들려준 이야기는 영상, 녹취, 구술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무진형제는 그러한 이야기전달방식 중 텍스트에 주목했다. 이번 전시가 도서관에서 진행되는점을 감안해 관람객들이 텍스트로 노인들의 이야기를 읽고 경험할 수 있게 제작했다. 설치된 도장을 직접 손으로 만지고 찍어보는 가운데 텍스트 또한 직접 손으로 넘기며 노인들이 들려준 이야기를 좀 더 촉각적으로 감각하고 느낄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전시가 끝나면 수많은 관람객들의 손때가 묻은 도장들은 다시 노인들에게 전달된다. 파주에서의 태각 프로젝트는 그 전달식을 마쳐야만 끝이 난다. 2017년도에 서울시 성북구 '이야기청'에서 전시되었던 도장은 딱 한 명의 노인에게만 돌아가지 못했다. 도장의 주인이 치매에 걸려 프로젝트에 참가했던 것마저 잊고 도장을 반송시켜버려서다. 다행히그의 도장은 노인들에게 프로젝트 과정을 설득할 때 매우 유용하게 쓰였다. 그렇게 치매에 걸린 성북구의 노인의 도장은 파주 노인들의 이야기보따리를 푸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어떻게든 이야기는 고이지 않고 흐르게 마련이다.

이번에도 노인들에게 전달될 도장은 도서관에서 전시되며 무수한 이용객들, 서로가 서로를 잘 몰라도 어찌되었든 파주라는 마을에서 함께 살고 있는 익명의 시민들의 손을 거쳐 가게 될 것이다. 그렇게 한때는 어느 시골 마을을 떠돌던 한 태아의 이야기가 수십 년을 지나 2018년의 시립도서관이라는 공공의 장소까지 오게 되었다. 어쩌면 도서관을 오가는 사람들은 각자의 사물함과 책상, 일련번호가 붙은 책을 대출하기만 하는 이용객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그들이 한번쯤 무진형제의 작업에 참여해 소소한 일탈이나마 감행해 보면 어떨까. 알고 보면 우리의 마을은 태몽 이야기로 가득 차 있다. 그곳에서 누가 어떤 기억을 가지고 살고 있는지,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들은 어떤 이야기를 꺼낼 수 있을지, 이번 전시를 통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