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iptures of the Wind
풍경(風經)


Scriptures of the Wind

The brothers in Scriptures of the Wind live so diligently. As the young generation in this era does. Therefore, the brothers in Scriptures of the Wind doesn’t necessarily have to be seen as brothers only. It doesn’t matter how the relationship is formed – based on blood relation, friendship, or some kind of contract. Just imagine the faces of young ones that live in this era through the brothers. Anyway, the brothers have to live life to the fill. They have to take care of the objects hung on the wall the whole day, and operate the mechanical device so the entire system of the space doesn’t stop. With even a brief moment of inattention, the entire space gets covered with black fragments and fog, so they can’t stop working.

There is no one to help them in and outside the space. Their father was long gone, and the outside world became a ruin. Of course, there is no way to know if the world is really ruined or not. It’s just that the world that the brothers experienced is ruined. A desolate and uneasy place that they can’t settle for, yet don’t know where to run away to. To those that live inside that space, the world only delivers more hopeless messages. The time is so dangerous that it is filled with disasters and people are always under threat. So, you just need to keep your place and live still to survive.

However, even in this precarious world that is facing destruction and the end, new lives are born and bred. The strange organism that rooted deep down here and there around the ruin when everyone couldn’t stand the dark and left. The brothers bring and keep them in the storage and observe them frequently. There is no way to know what their thoughts and purposes are in keeping those monsters. Indulgence in strange and foreign things perhaps represent the brothers’ situation, where they have no other things to do.

Perhaps the brothers can leave a dark egg through that strange creature. Like countless fathers did. Those that left dark eggs are the ones chosen by the time. Everyone must’ve fought and lived hard to get what they longed for from their time. But only a few can leave the record on such life- the ones that can leave dark eggs. If the strange monsters are identified and named after the brothers, perhaps the brothers will be remembered as noble to the future generation, like the ones that left the eggs.

Of course, the brothers have no idea which era these dark eggs, made into specimen in glass jar, passed through, who they were selected by, and what kind of power they have. They were just obsessed about remembering and keeping what they inherited from numerous fathers, and finding some practical value in them. Monster hunt began from that as well. But those precious collection all melted down. And because of that, the system in the house collapsed, and the time stopped.

Brothers are adapting and living in the reality, which is placed between the past world that was created by numerous fathers of the past and the future that they are trying to create. It is more like the struggle to move forward by somehow surviving in the given circumstance by moving diligently according to the system. Perhaps they can manage to live a stable life with adequate knowledge about the past and plans for various circumstances in the future. But the world isn’t so easy. Things come up to their expectation only in delusion.

Brothers are strictly managing themselves. This place was swelling with numerous organisms despite endless isotropic wind – in addition to some strange fog... Destruction in life arises from these things. The things that surround as explode at a certain point, revealing another side of the world that we haven’t seen. Of course, there isn’t rarely anyone that detected the destruction in the existing life through the incident that happened in front of their eyes. It is because the customary perception on reality or time was too deeply rooted. The awareness of problem in Scriptures of the Wind begins from this unreciprocated perception of time and way-to-simple defining of reality.

Although the future hasn’t come near, we are headed for it and don’t see anything. The present becomes past at the moment we call it present, and therefore, our heads always face the future. We guess our present position or the place that we should head to, and brainwash ourselves the certainty of such result, that everything is reality that we need to accept and settle with. We experience such error and misjudgment from the first place but somehow live. At least it seems so.

But what are we going to do when this place is turned upside down? Our bodies heading somewhere that we’ve never been do, and our heads not being able to see anything with all senses lost? We need to think about the life after deviating from the boring way of life that we had to move forward, while sticking to certain things. What needs to be changed first then, would be the customary frame of time, and the perception of present that was created in it. Of course, we don’t easily break free from the notion of time and reality even after disaster or accident. It is because we can’t easily get rid of the obsession on existing life. Despite so, there are people that perceive the place of life that is differently from the past and think about the conditions of new time and reality.

Moojin Brothers tell these issues on time and reality through “Book of Imaginary Beings” by Borges, because they discovered numerous existences from myths and legends that were away from the unidirectional time. There is an axis of history as the knowledge that is recorded based on accurate year and event. What the Brothers in Scriptures of the Wind tried to protect are this. Like the pedigree in genealogy book, it is the past that was selected and created by the value of each era.

But even if we select a single aspect of the time based on some value, the other aspect is automatically included in our choices. Not choosing something is the result of our action of choice. “Book of Imaginary Beings” by Borges is a strange book that intensifies the confusion by organizing the things that we simply categorized as myth, legend and superstition into the form of encyclopedia. By bringing out the things from humans’ unconsciousness and dreams and organizing them according to our knowledge system, it reveals the side of the world that we were not well-aware of.

Can we dare say that such existing that are categorized as myth, legend or superstition don’t actually exist? Through numerous classics and Borges’ classification, these imaginary creatures already exist through humans’ imagination and language, not some unknown creatures. These imaginary creatures that exist through literature and images intervene in our fixed views and ignorance and awaken the new point of life at some point. Objective knowledge and science aren’t the only things that are specifically engaged with our lives. Sometimes, such unclear and vague nonhistorical area works as the practical power, which shakes our customary patterns of life, values that seem firm, and the clear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Moojin Brothers first began the work by bringing the imaginary animals into reality by turning them into figurative imagination. By positioning them in different places in video, they implicitly suggested how they are connected to us and operate. In this process, what came to them the most intensely was ‘Myrmecoleon.’ Through the imaginary animal called ‘Myrmecoleon,’ they paradoxically eliminated the fantasy on humans and detected the inevitability that humans have as living organism.

Myrmecoleon, with the head of lion and body of ant, that couldn’t eat meat or grass and died from hunger. Humans are seen in Myrmecoleon, to which eating wasn’t actually eating and satisfying hunger returned back to deficiency. We, humans, move forward for stable family, abundance in later years and extra funds to prepare for any kind of hardships of life. But even after achieving such, we always feel deficient and live in hunger all life until we die. Through Myrmecoleon, this time of humans and the fundamental limitations that emerged from such time came face to face. Humans’ life, which starts from hunger and ends in death, is rather futile, but because of this, the fantasy about humans can perhaps be abandoned and this life and time space can be thought about in another way. One day, a phrase from Borges’ text came to Moojin Brothers like a sudden, strong gust.

Scriptures of the Wind is the words by things that exist in various imaginations and unhistoric areas. Like the wind that connotes numerous directions and time despite the unknown beginning and end, the chaos and unknownness that we face deliver messages that transcend our stable knowledge. The animals that appear in the climax of Scriptures of the Wind also play such role in the Brothers’ lives. The history of fathers that confine the Brothers are too weak to fill the space. Despite so, the Brothers continuously separate the things that they know and do not know, and tries to disregard hidden animals in the house and certain power so hard. They have no other option, in order to protect such knowledge and the unidirectional world that their fathers left them with. But what they tried to protect will soon rupture and break, like numerous fathers did – due to endless winds.

Stop motion method, used in Scriptures of the Wind, is an attempt to embrace such experience and ideas. It was the mechanism to represent the strange time that they were placed in and the mythical creatures. The work was done in the set that they created by moving the puppets and objects one by one. They created and arranged everything that were needed to make one scene, and had to calculate to the second to express each movement and background effect.

In this process, Moojin Brothers experienced the moment of becoming more free from the customary perception of time; the movements of our bodies that we didn’t easily notice, the momentary changes in light and fog, and the objects on set that faded away and showing different colors in the lapse of time, all while moving the puppets or objects.

Segmenting time into seconds wasn’t just the method of work. By observing the time that other objects experience, they were able to sense our time more specifically. This is what is intended in Scriptures of the Wind - for others to have such experience of time; not the time that confines our lives, but the time that is sensed in more various ways.



풍경(風經)

‹풍경›의 형제는 참 열심히 산다. 오늘날 우리 시대의 청춘들이 그렇듯이. 그렇기 때문에 ‹풍경›의 형제를 꼭 형제로만 보지 않아도 될 것 같다. 혈연, 우정, 어떤 계약으로 맺어져도 상관없다. 그들을 통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 얼굴들을 떠올리면 된다.
형제는 생존을 위해 열심히 일한다. 하루 종일 벽에 걸린 물건들을 관리하고 공간 전체 시스템이 멈추지 않도록 기계장치를 작동한다. 조금만 방심해도 공간 전체가 검은색 파편과 안개로 뒤덮이기 때문에 일을 멈출 수 없다.

공간 안팎 어디에도 이들을 도와줄 이는 없다. 아버지는 집을 나간 지 오래고, 바깥세상은 폐허가 되어버렸다. 물론 세상이 진짜 폐허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형제가 보고 경험한 세상이 폐허다. 익숙한 곳은 안주하기 어렵고, 그렇다고 어디로 도주해야 할지도 알 수 없어 막막하고 불안하기만 한 곳. 그 속에서 살아가는 자들에게 세상은 더욱 절망적인 메시지만 전한다. 지금 시대가 험악해 재난이 가득하고 인간들은 항상 위기에 처해 있다. 그러니 알아서 제 자리 지키며 쥐 죽은 듯 살아야 살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멸망과 종말을 앞둔 위태로운 세상에서도 새로운 생명체가 만들어지고 증식해 나간다. 모두가 자기 시대의 암흑을 견디지 못하고 떠나는 마당에 오히려 폐허 곳곳에 뿌리를 박고 굳건하게 자라고 있는 기이한 생명체. 형제는 그것들을 잡아와 보관함에 넣고 수시로 지켜본다. 어떤 생각과 목적으로 괴물들을 보관하는지 알 수 없다. 기괴하고 낯선 것에 대한 탐닉은 어쩌면 그것밖에 달리 할 수 있는 게 없는 형제들의 상황을 대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 괴생명체를 통해 형제들도 검은 알 하나쯤은 남길 수도 있지 않을까. 무수한 아버지들도 그랬으니까. 검은색 알을 남긴 자들은 시간이 선택한 자들이다. 누구든 각자의 시대로부터 갈구한 것들을 얻기 위해 치열하게 싸우며 살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삶에 대한 기록, 검은 알을 남길 수 있는 자는 소수이다. 저 괴물들의 정체를 밝히고 그 미지의 것에 형제의 이름을 붙인다면, 형제들도 알을 남긴 자들처럼 후대에 훌륭한 자들로 기억되지 않을까.

물론 형제는 유리병 속에 표본된 검은 알들이 어떠한 시대를 관통해서 누구에 의해 선택되었고, 그것이 어떤 힘을 발휘할지 전혀 알지 못한다. 그저 무수한 아버지들로부터 물려받은 것들을 고스란히 기억하고 보존함과 동시에 그로부터 어떤 실질적 가치를 찾아내야 한다는 강박에 사로잡혀 있다. 괴물 사냥도 그로부터 시작됐다. 그런데 그 귀한 수집품들이 모두 녹아버렸다. 그로 인해 집안의 시스템이 붕괴되었고, 시간도 멈췄다.

형제는 과거의 무수한 아버지들이 만든 과거 세계와 자신들이 구축하려는 미래 사이에서 주어진 현실에 적응하며 살고 있다. 시스템에 따라 부지런히 움직이며 어떻게든 생존해 앞으로 조금 더 나아가려는 몸부림에 가깝다. 과거에 대한 적당한 지식과 미래를 대비한 여러 경우의 수를 계획한다면 그럭저럭 안정된 삶이 가능하지 않을까. 그러나 세상은 그처럼 쉽고 안이한 곳이 아니다. 뜻대로 되는 건 오직 우리 망상 속에서다.

형제들 스스로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여기는 공간은 등방성의 바람이 끊임없이 몰아치는 가운데 무수한 생명체들이 곳곳에서 넘실대는 곳이다. 게다가 영문을 알 수 없는 이상한 연기까지 ...... 삶의 균열은 바로 이러한 것들로부터 발생한다. 우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것들이 어느 시점에 이르러 폭발해 우리가 보지 못했던 세계의 또 다른 단면을 기어이 드러내기 마련이다. 물론 눈앞에 벌어진 사건을 통해 기존 삶에 발생한 균열을 감지한 자는 거의 드물다. 현실이나 시간에 대한 습관적인 인식이 너무 뿌리 깊게 박혀 있어서다. ‹풍경›의 문제의식은 이처럼 일방적인 시간인식, 그리고 획일적 현실 감각에 대한 의구심으로부터 시작된다.

미래는 아직 도래하지 않은 시간임에도 우리는 마냥 그곳을 향해 달리며 아무것도 보지 못한다. 현재는 이것이 현재라고 외치는 순간 어느덧 과거가 되어버린다. 그리하여 우리의 무거운 머리통은 늘 자연스럽게 과거를 향할 수밖에 없다. 그곳을 보며 지금 우리가 서 있는 위치, 혹은 가야할 곳을 가늠하고 스스로에게 그 결과에 대한 확신을 끊임없이 세뇌한다. 이 모든 게 우리 스스로 받아들이고 안착해야 할 현실이라고 말이다. 애초에 우리는 그러한 오류와 오판을 매 순간 체험하면서도 어떻게든 꾸역꾸역 잘 살고 있다. 적어도 그렇게 보인다.

그런데 지금 서 있는 곳이 갑자기 뒤집어진다면, 그땐 어쩔 것인가? 몸뚱어리는 지금까지 단 한 번도 가본 적 없는 곳을 향해 움직이고, 무거운 머리는 모든 감각을 상실한 채 아무것도 볼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면? 무언가를 고수하면서도 진일보하던 그 단조로운 삶의 길로부터 이미 벗어난 이후의 삶을 생각해야 한다. 그때 가장 먼저 습관적인 시간 틀, 그 속에서 만들어진 현실 인식부터 바꿔야 하지 않을까. 물론 우리는 재난이나 사고를 당한 뒤에도 시간과 현실에 대한 관념을 쉽게 떨치지 못한다. 기존의 삶에 대한 집착을 쉽게 버리지 못해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전과는 전혀 다른 삶의 자리를 인식하고 새로운 시간과 현실의 조건을 고민하는 자들이 있다.

무진형제는 그러한 입장에서 우리의 시간과 현실에 대한 문제를 보르헤스의 「상상 동물 이야기」를 통해 풀어보았다. 그 책으로부터 일방향의 시간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무수한 신화와 전설 속 존재들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정확한 년도와 사건으로 기록된 지식으로써의 역사의 한 축이 있다. ‹풍경› 속 형제들이 지키려던 것이 바로 그러한 것들이다. 족보책 속 혈연의 계보처럼 각 시대의 가치에 의해 선택되고 배치된, 만들어진 과거이다.

그런데 우리가 어떤 가치에 의해 시간의 한 단면을 선택하면, 선택되지 못한 것들도 우리의 선택지에 포함되기 마련이다. 무언가를 선택하지 않은 것도 우리의 선택 행위에 대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보르헤스의 「상상 동물 이야기」 는 우리가 신화나 전설, 그리고 미신쯤으로 간단히 분류하고 외면한 것들을 백과사전식으로 매우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키는 이상한 책이다. 인간의 무의식과 꿈속에 처박혀진 것들을 꺼내 과감히 우리의 지식체계로 정리함으로써 오히려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세계의 한 축을 드러낸다.

단순히 신화나 전설, 혹은 미신적인 존재로 분류된 그러한 존재들을 향해 실재하지 않는 것이라 감히 말할 수 있을까. 이미 무수한 고전과 보르헤스의 분류를 통해 그 상상 속 동물들은 미지가 아닌, 인간의 상상과 언어로 실존한다. 그렇게 문헌과 이미지로 실존하는 상상 동물들은 어느 순간 우리의 고정된 견해와 무지에 개입하고 뒤흔들며 새로운 삶의 지점을 일깨운다. 객관적 지식과 과학만이 우리 삶과 구체적으로 맞물려 있는 건 아니다. 때론 너무도 불분명하고 모호해 보이는 그 비역사적인 영역이야말로 우리의 습관적인 삶의 패턴, 견고해 보이는 가치관, 현실과 상상에 대한 뚜렷한 구분을 뒤흔드는 실제적인 힘으로 작용한다.

처음 무진형제는 여러 상상 동물들을 나름의 조형적 상상으로 만들며, 이들을 현실로 끌어오는 작업을 시도했다. 그리고 이를 영상 곳곳에 배치해 움직이면서 그것들이 우리와 어떤 방식으로 연결되고 작동하는지 암시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그 과정에서 가장 강렬하게 다가온 상상 동물이 바로 ‘미르메콜레온’이다. ‘미르메콜레온’이란 상상의 동물을 통해 역설적으로 인간에 대한 환상을 지우고, 오히려 생명체로서의 인간이 지닌 필연성을 감지해서다.

사자의 머리와 개미의 몸뚱어리로 육식도 초식도 하지 못한 채 배고픔으로 인해 죽어버린 미르메콜레온. 그에게는 무엇을 먹어도 결국 먹지 않은 것과 같고, 허기를 채우자마자 결핍으로 되돌아갈 수밖에 없는 불안정한 인간이 있다. 안정된 가정생활, 노후의 풍족함, 어떤 세파에도 든든하게 대비할 수 있는 여유자금 등을 향해 죽어라 앞으로만 달리는 우리. 하지만 막상 그것을 이루고도 결핍을 느낀 채 평생을 배고픔 속에서 살다 죽을 수밖에 없다. 미르메콜레온을 통해 이러한 인간의 시간, 그리고 그러한 시간 속에서 드러나는 근본적인 한계를 대면했다. 배고픔에서 시작해 죽음으로 끝나는 인간의 삶이 다소 허무하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인간에 대한 환상을 버리고 이 삶과 시공을 다른 방식으로 사유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느 날 갑자기 강한 바람처럼 보르헤스의 텍스트의 한 구절은 무진형제에게 이렇게 불어 닥쳤다.

‹풍경›, 즉 바람의 경전이란 이름은 이처럼 온갖 상상의 존재들, 비역사적인 영역에 존재하는 것들이 전하는 말이다. 시작과 끝을 알 수 없음에도 무수한 방향과 시간을 내포한 바람처럼, 지금 우리에게 불어닥친 온갖 혼란과 미지 또한 우리의 한정된 앎을 초월한 메시지를 전한다. ‹풍경›의 클라이막스에 등장하는 동물들 또한 형제들의 삶에서 그러한 역할을 한다. 형제들을 가두고 있는 아버지들의 역사는 사실 그 공간을 다 채우지 못할 만큼 빈약하다. 그럼에도 형제들은 아버지들의 역사를 중심으로 자신들이 알고 있는 것과 알 수 없는 것을 분리하고, 집안 곳곳에 숨겨진 동물들과 어떤 힘들은 애써 외면한다. 그러한 앎, 아버지들이 물려준 일방향의 세계를 지키려면 어쩔 수 없다. 그러나 그들이 지키려 한 것은 무수한 아버지들이 그랬듯이 곧 분열되고 깨질 것이다. 끊임없이 불어 닥치는 바람에 의해서 말이다.

‹풍경›의 작업 방식인 스탑모션은 이러한 경험과 생각을 담기 위해 시도했다. 낯선 인간, 그리고 그들이 놓이게 된 낯선 시간과 신화 속 존재들을 표현하기 위한 장치였던 셈이다. 작업은 직접 만든 세트에서 인형과 조형물들을 하나하나 직접 움직여 가며 이뤄졌다. 한 장면을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들을 직접 만들고 배열했으며, 각각의 동작과 배경 효과까지 분초를 나누고 계산하며 표현해야만 했다.

그 과정에서 무진형제는 습관적인 시간 인식으로부터 조금 더 자유로워지는 순간을 경험했다. 인형이나 조형물을 움직이며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못 보았던 우리 신체의 움직임, 빛과 안개의 순간적인 변화, 그리고 시간의 흐름 속에서 점차 사라지고 변색되면서 또 다른 색을 발하는 세트장 곳곳의 조형물까지 …

시간을 초 단위로 미분하며 행하는 작업 방식은 단순히 작업에 있어서의 형식에 그치지 않았다. 우리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물이 경험하는 시간까지 관찰하며 오히려 우리의 시간을 좀 더 구체적으로 감각할 수 있었다. ‹풍경›을 통해 다른 사람들도 이러한 시간을 경험해 보았으면 좋겠다. 우리의 삶을 가두는 시간이 아니라 좀 더 다양한 방식으로 감지되는 시간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