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ace of the Box - The Dialogue of the Night
궤적(櫃迹) - 밤의 대화


The Dialogue of the Night

This work began from a long-time curiosity about Jong Sam Kim’s poem “Days of Struggle Against Illness”. This poem is about a poet that was suffering from what could be a nightmare or an illusion regains consciousness and feels hungry. It is a very short poem that consists of 4 lines only, but rather grotesque and frightening things appear such as witch and morgue.

It can be regarded as someone having a strange dream or seeing an illusion, but it’s strange that its title is “Days of Struggle Against Illness”. At anywhere in its story about being chased by a witch, running off to glary morgue and being surrounded by dark witches, there is no lead about the illness. What illness could the poet have been struggle against? To the readers’ curiosity, ‘Days of Struggle Against Illness’ marks with a side dot on various phenomena and images due to illusion or pain that people experience while fighting illness. It focuses on, not the name of disease, but how it starts and appears.

Although the disease that the poet is struggle is unknown, it gathers strange witches in the middle of the Night, leads tired body to the morgue, and makes the poet feel hungry in the morning at the end. Perhaps, we should focus on the symptoms and phenomena that the poet described more than what illness we are struggle against. Ill poets and artists are the ones that suffer from the symptoms of the time of and record the images of illness, not the ones that suffer from cancer or tuberculosis.

While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poem, the fear and anxiety that were discovered in this poem came as the problem of our time, not an individual’s illness. It could be because words like witches or morgue feel so familiar and myth-like now that it may be difficult to stir fear or anxiety. The gap between Kim’s time and our time came from such point, so that’s why this poem didn’t appear as an individual’s journey of struggle against illness.

Rather, The poet in this poem run away from the existence that arouses some kind of fear in his time (perhaps they can be substituted with zombies or psychopath killer in our time) and even reaches the death’s door. But he awakes and feels hungry- and the dreadful obsession about life rather feels terrifying. What is this body that feels hunger at the death’s door and needs to feed itself? The power of ‘Days of Struggle Against Illness’ comes from raising a complex and delicate question at the point where the problem of body, the place where illness and hunger coexist, arises.

While working on Project, The Trace of the Box, Moojin Brothers captured some kind of abnormal symptoms, which are personal yet suit the times, from unexpected space. No, they rather faced the dilemma of the people that are living in the same time with illness and hunger together. Rather than a single symptom, through the symptoms and illusions that arise from such symptoms that everyone suffers from.

Workers in the dawn markets, daily employees that stick to the job day and night, nighttime guards, cab drivers that open windows to stay awake at night, etc. Moojin Brothers detected some kind of abnormal symptoms of our times through the conversations that they had with nighttime workers while shooting different areas. The dialogue of the Night could be the conversations that those workers have during their short break, or could be the silent sleep talking; or it could be the silent scream that their bodies shout out while turning like monsters. Clearly, this reality that they have to work for through fierce overnight work, even reducing sleep, is the illness of the times that everyone is suffering from. Despite so, we wake up and head to work and welcome another night of insomnia to live somehow, and appease hunger. Everyone would know what they are being chased by. They also know very well that there is no place to run away to. Yet, the only way to avoid witches and morgue now is to wake up, forget hunger and run away...

* Project, The Trace of the Box

‘The trace of the box(櫃迹: Gwe Jeok)’ is the word composed of Gwe(櫃), which means the box containing the object, and Jeok(迹), which means the trace or footprint. In the work of Moojin Brothers, the Gwe(櫃) is the starting point of all the works. Gwe(櫃) such as box, bookshelf, chest, etc. is the space placing the book or materials required for work, etc, and at the same time, is the space that the tools, remaining materials and all kinds of memos are stored again when the work is finished. It can be the physical space that the beginning and end of work are repeated endlessly.

All the works starts and ends with the Jeok(迹). For Moojin Brothers, Jeok(迹) is the something like awe, question and strangeness. When some Jeok(迹) are found from the works of others contained in Gwe(櫃), new work starts and it becomes another question and story leading to next work.

The Trace of the Box(櫃迹) presented now have been started since 2017. Looking back the base of works, environment, etc. personally, I wanted to explore the geography in the same ages. Above all, I usually have some doubts on the press, information or knowledge in the SNS platform. Because exploring the conditions in the same ages around the contents in the timeline, which emerge and disappear repeatedly is seemed unreasonable. It needs to go further to different age, different background and far getting away from the current frame, which relies only on the information, That is why I selected the classic texts and images. with encountering with another age, I wanted to look our ages far away from it.

The work proceeded under the name of The Trace of the Box(櫃迹) is the work to explore this ages through the classic images and poetic language. So, all the works have a common point that the poetic language in the past were unraveled in various sites in this ages. I worked unraveling the poem of Hölderlin, Vasco Popa and Luis Carroll in the familiar and routine spaces such as ballot-counting site, Lotte World Tower, dawn market, new town apartment, etc.

As a result, Moojin Brothers used to discover the contemporary problems in the classic works and was able to capture diverse images in the routine spaces. For example, A Better World is the work that discovered the question about sacred world depicted by the poet in the ages of impoverishment from the “Bread and Wine” by Hölderlin and unraveled in the ballot-counting site of past Presidential Election. It captured the crowd that were divided by diverse political opinions and the ballot of many votes contained the aspiration of voter for better world using the thermal imaging camera under the strict surveillance in the ballot-counting site. In addition, In “Twenty Thousand Leagues Under the Sea” by Jules Verne and "Hunting of the Snark" by Luis Carroll, the images capture at the skyscraper and new town apartment complex and the written language, which rewrote the original test in the form of poem, were written down mixing them together

Originally, The Trace of the Box(櫃迹) is not the work having correct answer and clear direction. So, some people may consider these works as a results of misreading. However, Moojin Brothers consider that as the questions raised by works and I hope that you would appreciate that same way. Because Moojin Brothers did not make this works to give an answer. Rather, the work started in the questions was leaded to another question. In such questions, it is possible to share the linguistic images with the audiences. I hope that seeing the works of Moojin Brothers in the linguistic images, which were generated and disappeared in an instance, we would have time to be able to think over and appreciate the current problems calmly.



밤의 대화

김종삼의 시 「투병기」에 대한 오랜 의문으로부터 시작된 작업이다. 시 전체의 내용은 악몽에 시달리던 시인이 새벽에 정신을 차리고 허기를 느끼는 것으로 끝난다. 4줄 밖에 안 되는 매우 짧은 시지만 시에 등장하는 마녀, 시체실 등 다소 기괴하고 섬뜩한 것들이 등장한다.

누군가 좀 기괴한 악몽을 꾸었거나 환영을 본 것이려니 하고 치부할 수 있겠지만 이 시는 그 제목부터 참 이상하다. 마녀에게 쫓기고 휘황한 시체실로 도망치다 결국 새까맣게 뒤덮인 마녀들에게 둘러싸이는 내용 어디에서도 병에 대한 단서는 없다. 시인은 도대체 어떤 병과 싸우고 있을까. 그러한 독자들의 의문에 시인은 마치 어떤 병에 대한 진술이 아닌 어떤 병이든 누군가 그것을 앓을 때 보이는 환영이나 통증으로 인해 겪게되는 다양한 현상들과 이미지 등에 방점을 찍는다. 각자가 앓고 있는 병명이 아닌 그것이 어떤 장소에서 발현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드러나는지에 주목한 것이다.

시인이 앓고 있는 병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지만 그의 병은 한밤중에 기괴한 마녀들을 불러 모으고 지친 몸을 시체실로 인도하지만 결국 새벽에 허기를 느끼게 만들뿐이다. 어쩌면 우리는 각자가 어떠한 병에 시달리고 있는지가 아니라 시인이 묘사했던 그러한 병적 징후들과 병으로 인한 현상 등에 더욱 주목해야 하는지도 모르겠다. 병든 시인과 예술가들은 암과 결핵에 시달리는 자들이 아니라 그 병에서마저 시대적인 징후들, 각자에게 드러나는 다양한 병의 이미지 등을 표현하는 자들인 것이다.

물론 무진형제 또한 김종삼처럼 자신들이 앓고 있는 병이나 혹은 통증 같은 것으로부터 다양한 것들을 끌어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시를 하나하나 분석하고 이해하면서 이 시로부터 발견한 불안과 두려움 등이 개인의 병이 아닌 우리 시대의 문제로 읽혔다. 마녀라든지 혹은 시체실 같은 단어들이 지금은 너무도 익숙하고 미신처럼 느껴져 어떤 두려움이나 불안을 자아내기 어려운 탓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보다 오히려 이 시가 전하는 전체적인 구성에 있다. 투병기라 해놓고 자기 시대의 어떤 공포를 자아내는 존재들로부터(어쩌면 이는 지금 우리 시대의 좀비나 사이코패스 살인마 같은 존재와도 치환할 수 있지 않을까.) 끊임없이 달아나고 심지어 죽음의 문턱에까지 이르지만 결국 그 병든 몸으로 새벽에 깨어 배고픔을 느끼는 그 자체가 섬뜩하다. 죽지 못해 아니 죽음의 근처에서조차 배고픔을 느끼고 결국 또 살아 움직여 뭐라도 먹어야 하는 이 몸뚱어리는 애초에 태어난 이상 병듦 그 자체로 살아야 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의문이 들어서다.

이처럼 병이 언급되지 않은 시로부터 투병을 읽어내야 하듯, 무진형제는 <궤적(櫃迹)>작업을 하며 뜻밖의 공간으로부터 개인적이면서도 시대적인 어떤 병적 징후 같은 것을 포착했다. 굳이 하나의 증상이라기보다 모두가 앓고 있는 병의 증상과 그로 인한 환영 등을 말이다.

새벽시장의 일꾼들, 낮부터 밤까지 끊임없이 일에만 매달리는 일용직 노동자들, 야간 경비업체 직원들, 밤잠을 쫓기 위해 차 앞뒷문을 활짝 열고 운전하는 택시운전사 등. 실제로 여러 지역을 촬영하다 마주한 야간 노동자들과 주고받은 대화를 통해 우리 시대의 어떤 병적 징후를 감지하게 되었다. <밤의 대화>는 그러한 노동자들이 잠깐의 휴식시간에 나누는 대화, 잘 들리지 않는 잠꼬대일 수도 있고, 혹은 괴물처럼 변해가는 그들의 신체가 내지르는 조용한 비명일 수도 있는 이미지를 통해 우리 시대의 병적인 징후들을 드러내고 싶었다.

* 궤적(櫃迹) 프로젝트

‘궤적(櫃迹)’은 문자 그대로 풀어보면 물건이 담긴 상자를 뜻하는 ‘궤(櫃)’와 발자국이나 자취를 뜻하는 ‘적(迹)’을 합한 글자다. 무진형제의 작업에서 ‘궤(櫃)’는 모든 작업의 시작점이다. 공간박스, 책장, 상자 등 ‘궤(櫃)’는 평소 책이나 작업에 필요한 재료 등을 넣어두는 공간임과 동시에 작업을 마치면 공구와 남은 재료, 그리고 온갖 메모들이 다시 저장되는 공간이다. 작업의 시작과 끝이 끊임없이 반복되는 물리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작업은 ‘궤(櫃)’에서 발견한 ‘적(迹)’으로부터 시작하고 끝을 맺는다. 무진형제에게 ‘적(迹)’은 누군가의 텍스트나 이미지가 주는 경외감, 의문, 낯섦 같은 것들이다. ‘궤(櫃)’에 담긴 타인의 작품으로부터 어떤 ‘적(迹)’을 찾아내면 새로운 작업이 시작되고, 그것이 또 다른 질문과 이야기가 되어 다음 작업으로 이어지는 식이다.

이번에 선보일 <궤적(櫃迹)>은 2017년부터 작업해 왔다. 개인적으로 작업의 기반과 환경 등에 대해 돌아보며, 동시대의 지형을 탐색해보고 싶었다. 무엇보다 평소 언론과 SNS 플랫폼 속 정보나 지식에 대한 의구심 같은 게 있었다. 한시적으로 떠돌다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타임라인 속 내용을 중심으로 동시대의 조건을 탐색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였기 때문이다. 정보에만 기댄 현재의 프레임을 벗어나 좀 더 다른 시대, 다른 배경, 그리고 더 먼 거리까지 가 볼 필요가 있었다. 고전 텍스트와 이미지를 선택한 이유다. 다른 시대와의 조우 속에서 지금 우리의 시대를 좀 멀찌감치 떨어져서 보고 싶었다.

지금까지 <궤적(櫃迹)>이라는 이름으로 진행했던 작업은 고전의 이미지와 시적 언어를 통해 동시대를 탐색하는 작업이었다. 때문에 작업 모두 과거의 시적 언어를 동시대의 여러 현장에서 풀어낸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선거 개표장, 제2롯데타워, 새벽시장, 신도시 아파트 등 익숙하고 일상적인 공간에서 횔덜린과 바스코 포파, 그리고 루이스 캐럴의 시를 풀어놓고 작업했다.

그 결과 무진형제는 고전 작품으로부터 동시대의 문제들을 발견하기도 했고, 일상적인 공간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포착해낼 수 있었다. 가령 <좋은 세상>은 횔덜린의 「빵과 포도주」로부터 궁핍한 시대의 시인이 그려낸 신성한 세계에 대한 의문을 발견하고, 이를 지난 장미대선의 개표 현장에서 풀어낸 작업이다. 개표장의 삼엄한 감시 속에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다양한 정치적 견해로 갈리는 군중들과 좋은 세상에 대한 열망이 담긴 수많은 유권자의 투표용지를 담아보았다. 또한 쥘베른의 「해저 2만리」와 루이스 캐럴의 「스나크 사냥」에서는 초고층 빌딩과 신도시의 아파트 단지에서 포착한 이미지들과 원 텍스트를 시의 형식으로 리라이팅 한 문자 언어를 뒤섞어 써내려가기도 했다.

애초에 <궤적(櫃迹)>은 뚜렷한 방향성을 가지고 한 작업은 아니었다. 그렇기에 어떤 사람들은 이번 작업들을 오독의 결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무진형제는 그 또한 작업들이 제기한 의문으로 보고 함께 곱씹어 보았으면 한다. 무진형제 또한 답을 제시하기 위해 이번 작업을 한 게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의문 속에서 시작된 작업은 끊임없이 또 다른 의문으로 이어졌다. 그러한 의문 속에서 관객들과 더 많은 언어 이미지를 나눌 수 있지 않을까. 순식간에 생성되고 사라지는 언어 이미지 속에서 무진형제의 작업을 보며 현재의 문제들을 좀 더 긴 호흡으로 숙고하고 곱씹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