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ory of Old Dreams

‘Taemong(胎夢, Conception Dream)’. This word seems to be better when it is written in Chinese letters. It recalls old days when newspapers printed in both Korean and Chinese letters were delivered home every day, few TV channels were available. At the time, there was not enough text to read, so I had to read anything with text grabbed in hands. When I was very young, my mother sometimes talked about the conception dream when she carried me. She said that she took a goldfish from the creek. It was a long time ago, so I only have a dim memory of the story. But what I remember is that it was not my dream, but my mother’s dream. She dreamed to have a pretty daughter. That she never knew her daughter to be such a sulky child was a story that I often heard when I was in my early days.

At that time, my family often talk about their dreams. My mother insisted that she could get a message from her dream. Now I come to think of it, she was my age at best. I do not know whether she still has such dreams or she is just not talking about it anymore, but we do not talk about our dreams. When my nephew was born, there was no story of the conception dream. The dreams I have after I became an adult were mostly a mix and replay of what I have experienced when I am awake. There is no hidden meaning nor symbol. If it weren’t for the dream, an old-fashioned symbol, not as a mechanical combination of signifier and signified but as an manifestation of meaning, seems to be rather superstitious. After all, superstition is a name of a holy thing that has lost faith. We no longer believe that a dream has any meaning, so that we can see through the reality or see things ahead of time. We no longer believe that if give someone a meaningful name, it will shed light on its way of life like a small lamp. We do not pray nor wish. Instead, we predict, plan, and get insurance.

The conception dreams that Moojin Brothers collected from elderly people is an old dream in many ways. Elderly people ruminate on the dreams about their birth, dating back to the beginning of the last century, or the birth of the offspring who have already become adults or even elders. The stories show, in a fragmented way, how our society and the kinship community in the past have accepted the birth of a new member and what they projected into it. Here, the dream is interpreted as a visual cipher that contains foreknowledge about a child to be born, or as a channel to which a certain transcendental being tell such foreknowledge. The true meaning of the dream may be revealed slowly through the life of the child and their parents, or maybe remained unrevealed even after they spend most of their entire life. In the gap between dream image and real life, some life is accepted as a fate and some life is lamented as being against a fate.

The conception dream, which is generally symbolized as ripe fruit and plump animals, is associated with the promise of a happy life with richness, joy and luck, but those who have dreams and share the story of their dream also find out ups and downs and constraints intervening their life. As soon as mothers recognize the conception dream, they sense the baby to be a son or a daughter. There are many auguries that inform the gender of a child to be born. But such auguries ar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wishes and feelings of the mother and the surrounding people, and justify the result after actual birth. For example, if a chili appeared in a dream, the child should be a son. But if it is a daughter, it is because the chili was not red ripe but green. To one old woman, a golden yellow and plump snake is a son, a black and bad snake is a daughter, but to another one, a black and fierce venomous snake is a son, and a beautiful and colorful snake is a daughter. After seeing ripe peaches and plump goldfish, someone expects a son and some expects a daughter. To some people, such images are easily forgotten, but to the other, such images remain as lifetime indicators. When did we stop to interpret dreams and keep the meaning of it in our mind? The reason we do not talk much about the conception dream is not unrelated to that we take pictures of the fetus with ultrasound to scientifically distinguish the gender. As it became possible to visualize the unborn child more accurately than the dream and manipulate it more precisely than prayer, the space for the conception dream between hope and foreknowledge has narrowed more. Then, what can we find in the old dream story? This eventually leads to the question of what we can talk with elderly people and what we can get from the conversation. To the people born in the different times and being in the different stage of lifecycle, who avoid talking about a dream too good to reveal or who feel nervous all day thinking of an ominous dream, what can I talk?

Moojin Brothers do not define the elderly people as a different tribe with a peculiar culture but just collect their dream stories and preserve the original dream images. The images of conception dream that elderly people saw or heard from others become uneven pictures with their own hands. The artists made a large wooden stamp with these pictures that are sometimes difficult to recognize like a puzzle. The wooden stamps displayed on the exhibition space are placed downward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tell what pictures are hidden in the stamp before stamping with them. But these wooden stamps, having different ring patterns engraved in the wooden pieces of the same shape and unexpectedly light when they are held in hands, appear as another image by themselves without a definite meaning. They are inevitably reminiscent of tombstones and ancestral tablets, but they also look like books. Someone may imagine a genealogy encompassing generations, and others may imagine a virtual library that records all the life histories of everyone who could not be reduced to the genealogy or even not to be registered in it.

The artists do not actually build such a library of all stories but just install solid wood pieces engraved with childlike pictures. They provide a minimal body or container for stories that cannot be said or heard or that will never come out. Whether body comes before mind or the other way round or whether symbol comes before meaning or the other way round. This has long been a topic of controversy. Now, for us who do not believe that the word of ‘soul’ actually has a referent corresponding to the word, the mind is the effect of the body and the meaning is the effect of the symbol. In other words, it might be accepted by us that the mind and the meaning are just illusions and we are only given a wet and heavy, body and a stiff symbol. But when thinking upside down, how marvelous is the body that contains a mind and a symbol that contains a meaning? It is a mysterious magic like a doll made by carving wood moves alive. The wooden stamps containing the conception dream conjure up the time of such a magic.

Magic has its own beauty. But, it is inevitably violent to engrave a meaning on the living body. It is a matter of a decision. Decision, or Gyeoldan(決斷) etymologically means cutting. Divide this and that; take this and throw that away. So, you will be a boy or a girl; a parent or a child; an old man or a young man. But decision is not ended in a single cut but open to a series of cutting. Like making a path through the grass, the deed of cutting engraves the current posi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stepping forward and regenerating the entire scenery of time every time.

What are you? What have you been decided to become by you own will, by others’ will, by chance, by history, or by nature? The wooden stamps with wrinkles of time do not analyze and evaluate the life of elderly people who have already spent most of their time. It’s almost over and it is impossible to turn it round. But the image of dream engraved there invites us to the moment when the time has just begun and the first decision was made. It will not be able to give birth to another life, but it may be able to give birth to another dream, and it may intervene in another life through the dream. Taegak(胎刻, Carving of Conception Dream) by Moojin Brothers is filled with such a dream of dreams, waiting for the audience.


Wonhwa Yoon
Independent researcher, art writer and translator.


오래된 꿈 이야기

‘태몽(胎夢)’이라는 단어는 왠지 한자로 써야할 것 같다. 그 말은 신문이 국한문 혼용이었던, 매일 아침마다 신문이 배달되고 텔레비전 채널이 몇 개 되지 않았던 때, 문자로 된 것이 부족해서 손에 잡히는 대로 무엇이든 읽어야 했던 때의 공기를 불러낸다. 내가 아주 어렸을 때, 어머니는 가끔 나의 태몽에 관해 이야기하곤 했다. 개울에서 금붕어를 잡았다던가 하는데, 너무 오래 전 일이라 내게는 그 이야기 자체가 꿈처럼 흐릿하게 남아있다. 다만 내가 기억하는 것은 그것이 나의 꿈이 아니라 어머니의 꿈이었다는 것이다. 그는 예쁜 딸을 낳는 꿈을 꾸었다고 했다. 그런데 설마하니 이렇게까지 딸 키우는 재미가 없는 아이일 줄 몰랐다는 것이, 내가 어릴 때 종종 들었던 이야기였다.

그때는 꿈 이야기가 곧잘 화제에 올랐다. 어머니는 간혹 메시지가 있는 꿈을 꾼다고 주장했는데, 이제 와서 생각하면 그때 어머니는 기껏해야 지금 내 나이였다. 지금은 그런 꿈을 꾸지 않는지, 또는 그저 더 이상 그런 이야기를 하지 않게 되었는지 모르지만, 요즘엔 꿈 이야기가 오가지 않는다. 조카가 태어날 때도 태몽 이야기는 없었다. 어른이 된 후에 내가 꾸는 꿈은 대부분 깨어 있을 때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임의로 뒤섞어서 재생한 것에 가깝다. 어떤 의미도 숨겨져 있지 않고 어떤 상징도 발견되지 않는다. 꿈의 바깥으로 나와 봐도, 기계적으로 조합된 기호가 아니라 의미의 현신으로서 상징이라는 것은 이제 조금 미신처럼 여겨진다. 미신이란 결국 믿음을 잃어버린 성물에 붙여지는 이름이다. 우리는 더 이상 꿈에 어떤 의미가 있어서 현실을 꿰뚫어 보이거나 심지어 앞질러 보여줄 수 있다고 믿지 않는다. 우리는 어떤 존재에게 의미를 담아 이름을 붙이면 실제로 그 의미가 작은 불꽃처럼 그 존재의 앞길을 밝히리라고 믿지 않는다. 우리는 기도하지 않고 소망하지 않는다. 그 대신 예측하고 계획하고 보험을 든다.

무진형제가 수집한 노인들의 태몽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오래된 꿈이다. 노인들은 지난 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가는 그들 자신의 탄생, 또는 이미 어른이 되거나 심지어 노인이 되어 버린 자손들의 탄생을 둘러싼 꿈을 다시 꺼내 본다. 그것은 과거에 이 사회와 친족 공동체가 새로운 구성원의 탄생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그에 무엇을 투영했는가를 단편적으로 보여준다. 여기서 꿈은 태어날 아이에 관한 예지를 담은 시각적 암호, 또는 어떤 초월적 존재가 그런 예지를 알려 주는 채널로서 적극적으로 해석된다. 그 꿈의 진정한 의미는 아이와 부모의 일생을 통해 천천히 밝혀지기도 하고, 어쩌면 일생을 거의 다 보낸 후에도 알 수 없는 것으로 남기도 한다. 꿈 이미지와 실제 삶의 간격 속에서, 어떤 삶은 운명적으로 납득되고 또 어떤 삶은 운명과 어긋난 것으로 탄식된다.

일반적으로 잘 익은 과일과 살찐 동물로 표상되는 태몽은 부유함, 즐거움, 행운이 조합된 다복한 삶의 약속과 연관되지만, 꿈을 꾸고 꿈 이야기를 나누는 사람들은 그 삶에 끼어들 굴곡과 제한 조건들 또한 놓치지 않고 찾아낸다. 태몽을 꾸는 어머니들은 아이를 점지하는 꿈을 인식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그 아이가 딸인지 아들인지를 감지한다. 태어날 아이의 성별을 미리 알려준다는 온갖 종류의 전조들이 있다. 하지만 그런 전조들은 결국 어머니와 주변 사람들의 소망과 예감에 따라 해석되고 실제 출산 결과를 사후적으로 정당화한다. 그러니까 꿈에 고추가 나왔다면 아들이어야 하는데 딸이 나온 것은 빨갛게 잘 익은 고추가 아니라 덜 익은 초록 고추였기 때문이다. 어떤 할머니에게는 누렇고 살찐 구렁이가 아들이고 검고 나쁜 뱀이 딸이지만, 또 다른 할머니에게는 검고 사나운 독사가 아들이고 알록달록하고 예쁜 뱀이 딸이다. 잘 익은 복숭아나 통통한 금붕어를 보고 누군가는 아들을 또 누군가는 딸을 기대한다. 그런 이미지들이 어떤 사람에게는 굳이 마음에 담아둘 필요가 없는 것으로 지나가고 또 어떤 사람에게는 일생의 지표로 남는다.

우리는 언제부터 꿈을 해석하고 그 의미를 마음에 담아두기를 멈추었을까? 태몽이 드물어진 것은 아마도 초음파로 태아의 사진을 찍고 과학적으로 성별을 감별할 수 있게 된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꿈보다 정확하게 시각화하고 기도보다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되면서, 소망과 예지의 사이에 걸친 태몽의 자리도 점점 더 좁아졌다. 이제 와서 우리가 오래된 꿈 이야기에서 무엇을 발견할 수 있을까. 이것은 결국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오래된 사람들과 어떤 이야기를 나눌 수 있고 그로부터 무엇을 찾을 수 있을까 하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너무 귀한 꿈을 꾸어서 이야기를 발설하기 아까워하거나, 너무 흉한 꿈을 꾸어서 하루 종일 전전긍긍하는, 나와 다른 시대를 통과하고 나와 다른 생애주기에 서있는 노인에게 무엇을 말할 수 있을까.

무진형제는 태몽이라는 오래된 꿈의 형태를 통해 노인을 고유한 문화를 지닌 하나의 이질적인 종족으로 종합하기보다, 다만 그들 각각의 이야기에 집중하면서 그 이야기의 출발점이 된 하나하나의 꿈 이미지를 수집하고 보존하는 편을 택한다. 노인들이 직접 보거나 전해 들은 꿈 이미지는 그들 자신의 손으로 삐뚤삐뚤한 그림이 된다. 작가들은 때로 알아보기 어렵거나 수수께끼처럼 보이는 이 그림들로 커다란 나무 도장을 만들었다. 전시장에 진열된 나무 도장들은 그림이 아래로 가게 놓여 있어서 직접 도장을 들고 찍어 보기 전에는 그 안에 어떤 그림이 숨겨져 있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똑같은 크기와 모양의 나무토막에 제각기 다른 나이테 무늬가 아로새겨진, 실제로 손에 쥐어 보면 생각보다 가벼운 이 도장들은 그 자체로 의미가 확정되지 않은 또 하나의 이미지를 이룬다. 그것은 어쩔 수 없이 묘비나 위패를 연상시키지만, 또 어떻게 보면 책 같기도 하다. 누군가는 거기서 세대를 아우르는 족보를 떠올릴 것이고, 또 누군가는 족보로 환원되지 않거나 애초에 족보에 적힐 수도 없었던 모든 사람의 생애사를 기록한 어떤 가상의 도서관을 상상할 수도 있다.

작가들은 실제로 그런 도서관을 만들어 모든 이야기를 펼쳐 보이기보다 그 모든 것을 그저 단단한 나무토막에 새겨진 어린 아이 같은 그림들로 대신한다. 그것은 미처 말하지 못하고 듣지 못한 것들, 어쩌면 영영 밖으로 나오지 못할 이야기들을 위한 최소한의 몸체 또는 그릇을 제공한다. 몸이 먼저냐 마음이 먼저냐, 또는 기호가 먼저냐 의미가 먼저냐는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논쟁의 주제가 되었다. ‘영혼’이라는 말이 실제로 그에 해당하는 지시 대상을 지닌다고 믿지 못하는 지금의 우리에게, 마음은 몸의 효과이며 의미는 기호의 효과일 것이다. 이 말은 마음이니 의미니 하는 것들은 한낱 허상이며 우리에게는 단지 무겁고 축축한 몸과 딱딱한 기호가 주어져 있을 뿐이라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하지만 거꾸로 생각하면, 마음을 담을 수 있는 몸이란, 의미를 담을 수 있는 기호란 얼마나 신기한 것일까. 그것은 나무를 깎아서 만든 인형이 살아 움직이는 것과 같은 신비한 마술이다. 태몽을 담은 나무 도장은 그런 마술의 시간을 불러낸다.

마술은 그 나름의 아름다움이 있다. 그러나 살아있는 몸에 의미를 아로새기는 것은 어쩔 수 없이 폭력적인 일이기도 하다. 또는 결단이 필요한 일이라고 하자. ‘결단(決斷)’은 문자 그대로 자르고 뚫고 끊는다는 의미다. 이것과 저것을 나눈다. 이것을 취하고 저것을 버린다. 이를테면 남자 아이가 아니면 여자 아이가 될 것이다. 부모가 아니면 자식이 될 것이다. 노인이 아니면 젊은이가 될 것이다. 하지만 결단은 단 한 번의 칼질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나누어 보는 행위의 연쇄를 향해 열려 있다. 풀을 헤치고 길을 내듯이, 반으로 나누는 칼날이 과거와 미래 사이에 현재의 자리를 새기고 그 자리를 움직이면서 시간의 풍경 전체를 매번 새롭게 고쳐 그린다.

당신은 무엇인가? 당신은 자의 또는 타의에 의해, 또는 그저 우연에 의해, 역사에 의해, 자연에 의해, 무엇이 되기로 결단되었나? 시간의 주름이 새겨진 나무 도장들은 주어진 시간의 대부분을 이미 써버린 노인들의 삶을 굳이 분석하고 평가하지 않는다. 그것은 이미 거의 끝난 일이고 돌이키기 어렵다. 하지만 거기 새겨진 꿈의 이미지들은 그 시간이 이제 막 시작되려는 순간, 최초의 결단이 행해진 순간으로 그들과 우리를 초대한다. 그것은 이제 와서 다른 삶을 낳을 수 없겠지만 아마도 다른 꿈을 낳을 수 있을 것이며, 어쩌면 그 꿈을 통해 또 다른 삶에 끼어들 수 있을지도 모른다. 무진형제의 <태각(胎刻)>은 그런 꿈의 꿈으로 충전되어 관객을 기다린다.


윤원화
시각문화 연구자